국가경제지표: 고용(임금)관련 경제지표: 경제활동인구, 취업자수, 실업률, 고용률, 시간당명목임금증감률, 노동생산성증감률, 단위노동비용증감률, 단위노동비용증감률

국가경제지표: 고용(임금)관련 경제지표: 경제활동인구, 취업자수, 실업률, 고용률, 시간당명목임금증감률, 노동생산성증감률, 단위노동비용증감률, 단위노동비용증감률

© QuinceMedia, 출처 Pixabay

* 고용(임금)관련 경제지표
1) 경제활동인구
2) 취업자수
3) 실업률
4) 고용률
=> 4가지는 통계청에서 발표, 고용 관련

5) 시간당명목임금증감률
6) 노동생산성증감률
7) 단위노동비용증감률
8) 단위노동비용증감률
=> 임금 관련

# 경제활동인구
1.노동 가능인구
-만 15세 이상 인구로서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다.
현역군인, 공익근무요원, 상근예비역, 전투 또는 의무경찰, 형이 확정된 교도수 수감자, 소년원 및 치료감호소 수감자, 경비교도대 등은 노동가능 인구에서 제외

2.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
수입이 있는 일에 종사하고 있거나 취업을 위한 구직활동 중에 있는 사람으로 취업자와 실업자로 구분된다.

3.비경제활동인구
-가사
-육아
-통학(정규교육기관, 입시학원, 취업을 위한 학원)-재수생
-일을 할 수 없는 연로자 및 심신장애자
-자발적으로 자선사업이나 종교 단체에 관여하는 사람
-구직단념자

4.취업자
-수입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18시간 이상 일한 무급가족 종사사자
-일시휴직사

5.실업자
-지난 4주간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으며 일이 주어지면 즉시 일할 수 있었던 사람이 포함된다.

6.임금 근로자
자신의 근로에 대해 임금 봉금 일당 등 어떠한 형태로든 일한 대가를 지급받는 근로자로 상용, 임시 및 일용으로 구분된다.
가, 사용근로자: 고용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
나, 임시근로자: 고양계약기간이 1개월 이상 1년 미만인 경우
다. 일용근로자: 고용계약기간이 1개월 미만 또는 매일매일 고용되어 일단제급여를 받는 사람

7.고용률
가.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노동가능인구
나.실업률 = 실업자/경제활동인구
다.고용률 = 취업자/노동가능인구
실업률과 고용률의 비율은 경제활동과 노동가능인구에 따라 달라진다.


경제활동인구 – 통계청에서 매월 발표
경제활동인구/좌측 – 단위는 1000명. X축은 월별, 월별로 등락이 심하다.
2월에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한다.

취업자수 – 통계청 매월 발표
2월에는 취업자수 급감.
실업률 – 좌측 실업률
5%가 높았던 정도. 2010년 초 2월 실업률이 높았다. 2월.
고용률 – 통계청
실업률 내려간다고 고용률이 높아지진 않는다.
매 2월이 가장 낮다. 2010년 2월 가장 낮았다, 2008년 4월이 가장 높았다.
60%를 넘지 않는 선에서 왔다갔다한다. 


7)시간당명목임금증감률
1.발표기관: 한국생산성본부(분기)
2.특징:
1)제조업 기준
2)사용근로자 기준
3)시간당명목임금 = 명목임금/ 근로시간
3.대한민국 경제지표
2008년 말에 가장 낮았다. 0을 기준으로 본다.

8)노동생산성증감률
1.발표기관: 한국생산성본부(분기)
2.특징
1)제조업 기준
2)상용근로자 기준
3)노동생산성 = 산출량 지수/노동투입량
4)노동투입량= 근로자수 X 근로시간
3.표를 0을 기준으로 2008년 노동생산성 저하. 금융 위기가 있던 시기. 2009년 말이 노동생산성이 증감이 좋았던 시기(20%)정도 이후 하락

9)단위노동비용증감률
1.발표기관: 한국생산성본부(분기
2.특징
1)제조업기준
2)단위노동비용 =시간당 명목임금/노동생산성
3)표 0을 기준. 단위당 노동비용이 높으면 비싸게 부담하고 있다. 2000년도가 높았고 그 이후 감소하고 있다.

10)가구당 월평균 소득
1.발표기관: 통계청(매월)
2.특징
1)근로자 가구기준
2)가구는 거주와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의 모임이며 한 사람이라도 별도로 거주하고 독립적인 가계를 이루는 경우에는 하나의 가구로 간주한다.
3.표 –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2년도가 가장 높았다. 460만원 정도.

문제 노동가능인구가 아닌 것은? - 현역군인

고용계약기간이 1개월 미만인 근로자는 – 일용근로자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국어교육 - 실습지도안 V-(으)ㄴ 적이 있다

부동산학 기초이론 - 부동산 투자, 부동산 투기, 재산 3분법, 저당상수와 연금 현가계수, 상환조견표

종묘에서 자세히 보지 못한 종묘 제례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자세히 만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