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 기초이론 - 공업입지론, 최소비용이론, 최대수요이론


3절 공업입지론
튀넨의 수송비가 농업입지결정의 중요한 입지인자가 된다는 농업입지이론은 공업입지사상에 중대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하여 공급측면에서 입지결정과정을 설명하는 A. Weber의 최소비용이론Palander의 배달가격이론과, 수요측면에서 입지결정과정을 설명하는 A. Lösch의 최대수요이론으로 발전하였고, 근래에는 수요와 공급을 함께 고려하는 공간이론인 통합이론이 GreenhutSmeeth, W. Isard 등에 의하여 제기되고 있다.

1. 최소비용이론

(1) A. Weber의 최소비용이론

개 념
생산과 판매에 있어 최소운송비가 드는 지점(地點)에서 공업입지가 결정된다는 이론.
㉠ 운송비는 원료와 제품의 무게와 원료와 제품이 수송되는 거리에 비례한다.
㉡ 공장입지의 선정과정서 최소의 운송비가 드는 지점을 선호하는 것을 ‘운송지향’ 이라 한다.
㉢ 공장입지의 선정과정서 최소의 노동비가 드는 지점을 선호하는 것을 ‘노동지향’ 이라 한다.     노동지향점은 운송비 증가폭을 저렴한 노동력이 충분히 상쇄시킬 수 있는 지점이다.

원료지수와 입지중량에 의한 입지성향
㉠ 원료지수란 베버(A.Weber)가 산업입지의 요건을 설명하고자 도입한 개념이다. 베버는 원료     를 보편(普遍)원료와 국지(局地)원료로 구분하여 원료지수를 도출하였다. 보편원료는 어느         곳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어 운송비가 발생치 않는 원료를 말하고, 국지(또는 편재)원료는           특정지역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운송비가 발생하는 원료를 말한다.
㉡ 입지중량이란 제품중량에 대한 총운송중량(국지원료중량+제품중량)의 비율을 말한다.
핵심체크
(1) 원료지수
최종생산물의 중량(P)에 대한 국지원료의 중량(L)의 비율(LP)을 말한다.
[원료지수(M) =국지원료중량(L)/제품중량=L/(L-V+U) ]
M: 원료지수 V: 손실원료중량
L: 국지원료중량 U: 보편원료중량 P: 제품중량

(2) 입지중량
[입지중량 =(국지원료중량+제품중량)/제품중량 = 원료지수 + 1]

(3) 원료지수와 입지중량에 의한 입지성향
원료지수 < 1이거나 입지중량 < 2이면: 시장지 입지성향
원료지수 > 1이거나 입지중량 > 2이면: 원료지 입지성향
원료지수 = 1이거나 입지중량 = 2이면: 자유입지성향
핵심체크
* 공장부지의 입지요인
(1) 시장지향형 입지
시장지향형 입지란 제품을 시장까지 수송하는 교통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기업이 선호하는 입지형태이다. 시장지향형 입지의 구체적 예는 다음과 같다.
중간재나 완제품을 생산하는 기업
원료지수<1이거나 입지중량<2인 기업. , 산출제품의 무게나 부피가 투입
원료의 그것보다 훨씬 큰 물품을 생산하는 중량증가산업이 이에 해당된다.
중량증가산업의 경우는 청량음료 제조업, 맥주공장, 제약업, 제빵업 등이 있다.
제품의 부패성이 심하여 유통기간이 짧은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도 시장지향형 입지를 선호한다.
소비자와의 많은 접촉을 필요로 하는 산업
소비시장에 재고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산업
(2) 원료지향형 입지
원료지향형 입지란 원재료의 수송비가 교통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기업이 선호하는 입지형태이다. 원료지향형 입지의 구체적 예는 다음과 같다.
편재원료를 많이 사용하면서 제조과정서 많은 중량을 감소시키는 중량감소산업
원료지수>1이거나 입지중량>2인 기업. , 투입원료의 무게나 부피가 산출제품의 그것보다 훨씬 큰 물품을 생산하는 중량감소산업이 이에 해당한다.
중량감소산업의 구체적 예로는 시멘트공업, 제련공업, 제당공업 등이 이에해당된다.
통조림공업이나 냉동공업처럼, 원재료의 부패성이 심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
(3) 노동지향형 입지
노동집약적인 산업은 노동력이 풍부하고 임금이 저렴한 노동력의 밀집지역
에 입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신발산업이나 의류산업이 그 구체적 예이다.
따라서 노동지향형 입지요건은 저임금과 노동력의 밀집도가 결정한다.
노임지수가 클수록 노동지향형 입지를 선호 [노임지수 =노임/단위제품중량 ]
(4) 자유입지
원료지수=1이거나 입지중량=2인 산업은 자유입지 성향으로 특정의 입지를 가리지 않는다.


집적인자와 분산인자
㉠ 집적(集積)인자란 공업을 집적화 함으로써 발생하는 인자이다. , 원료의 공동구매, 공동판     , 시설의 공동이용 등을 통해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 분산(分散)인자란 공업을 집적화 하는 경우 처음에는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여 집적인자가       발생하나, 규모가 일정규모 이상 비대해지면 규모의 비경제가 발생한다. 이렇게 규모의 비           경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공업을 분산시킴으로써 이익을 발생시 킬 수 있다.

(2) 배달가격이론(Palander)
베버(A.Weber)의 이론을 수정확대한 이론으로 두 기업이 동일 제품을 생산하여 각기 다른 시장에 공급할 경우에 두 기업의 배달가격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상권(商圈)의 경계가 결정되어진다는 이론이다. 배달가격이란 기업의 생산비에 소비시장까지의 제품수송비를 합한 가격을 말한다.
배달가격 = 생산비 + 운송비

2. 최대수요이론
A. Lösch의 최대수요이론은 공급측면의 생산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베버(A.Weber)의 최소비용이론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성립하였다. 이윤을 극대화하는 공장입지는 최대의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수요측면에서 접근한 공장입지론이다.

3. 통합이론
W. Isard에 의하여 제기된 이론으로, A. Weber의 최소비용이론과 A. Lösch의 최대수요이론을 결합한 요소대체이론이다. 요소대체이론은 기업이 생산요소를 대체하여 적정한 배합을 함으로써 적정입지를 선정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국어교육 - 실습지도안 V-(으)ㄴ 적이 있다

부동산학 기초이론 - 부동산 투자, 부동산 투기, 재산 3분법, 저당상수와 연금 현가계수, 상환조견표